기존 마을에서 만들어진 (최종)기록물들을 공유하는 방법 외에, 과정에서 모아진 원자료들(주로 직접 촬영한 사진, 수집한 기존 마을기록/연구물, 데이터)들을 공유가능한 형태로 분류하고 웹으로 카탈로깅하는 방안 마련
각 지역에서 마을 기록을 하고 있는 개인, 단체들의 기록물들과의 연대 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기 위해 우리마을 기록단 홈페이지(노션활용한 페이지)에 각자의 활동을 자유롭게 올리고, 서로 피드백하거나 작업을 함께할 도반을 찾는 일들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안 마련
프로젝트 범위 :
T1.비저닝
프로젝트 목표 및 과업범위 정리
자료검토 및 정리방법 논의
사용 아카이빙 툴 결정
T2.DB구축
소장자료 DB구축
T3.플랫폼구축
아카이브 시스템 구축
2. 진행 과정
회차별 수행내용 요약
1회차
우리마을 기록단 조직현황 및 문제점 파악
문제점
1.온라인 자료제공 어려움 ——> by 기록단
2.기록화 방법론 학습 필요 ——> by 참여자
해결방안
1.온라인 접근제공
지역이나 단체보다 개인이 드러나는 방식
결과물이 먼저 보이기보다 사람 중심으로 보여주기(노션의 사람 썸네일처럼)
개인들이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싶은 인센티브 필요. 나만의 공간 제공 등.
기본개요 정도만 통일하고 사람마다 다양한 수준으로 자료 올리도록 했음
2.네트워크
대의나 거시적 관점보다 당장 필요한 걸 먼저 수행
지금 당장 만나는 사람들이라도 제대로 네트워킹 하자
목표모델 설정
활동 결과물들이 모이는 라이브러리
누가 어디서 어떤 작업을 했는지 알 수 있는 작업
시민들이 기록을 만들어내며 출처 등 맥락을 모으기 쉽지 않으나 중요한 원자료는 같이 공유할 수 있도록 지원. 안성의 경우 현장에서는 그 마을자료가 왜 중요한지 모름. 이런 중요한 자료를 온라인에 보관해서 보여주면 다른 마을도 가치를 인식하고 우리 마을 자료도 보존하게 되는 선순환 효과
마을기록의 필요성과 중요성, 정체성 등 공적인 의미를 발견하고 이러한 가치가 공론화되도록 하고 싶음. 개인작업자들의 네트워크라기보다는 마을기록의 중요성을 공유하는 사람들의 네트워크였으면 함. 그래서 지도 작업을 한 것임. 개인을 드러내지만 궁극적으로는 마을 단위가 드러나야 함. 마을기록의 중요성
2회차
우리마을 기록단 자료현황 파악
소장자료현황
2016년 작업물 중심(공통형식). 이후에는 개별작업이라 공통형식 아님
9팀별 폴더 정리, 개별 활동보고서(hwp), 수집파일세부목록(hwp) 포함, 재가공물, 후기도 같이 정리 원함
마을활동공유: 아지트공간 운영하며 활동책자 배포, 전시회 —> 저작권 문제 없다면 자료 외부 공유하고 싶음
발간물: 남산골해방촌
문헌조사
학위논문: 서울 해방촌 경사지 주택 건축의 유형 및 변용
참고논문, 기사
문제점
수집물과 참고자료 모두 아카이빙 필요. 참고자료가 더 풍부한 맥락을 제공함. 그러나 저작권 문제가 걸림
Omeka용 웹서버 호스팅 비용 발생 (1~5만)
웹에서 결과물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방법 필요
최종결과물만 급하게 올림(PDF를 이미지로 바꿔서 올리다보니 덜예쁨)
ex.남산산책 > 웹페이지 인터랙션 시도 원함(새가 등장, 소리 재생)
경향 인터랙티브 참고
해결방안
노션 + 디지털아카이브(미정) 사용, 다중분류 적용
공간
인물
사건
웹서버 호스팅 방안 고려
1안. 서울기록원 서버 사용 (2023 시범)
2안.아카이브랩 서버 사용 (아카이브랩은 기술지원+인프라 참여)
3안.상용 웹호스팅
오메카 vs 노션 vs 클라우드 장단점 비교분석 후 아카이빙 툴 결정
자료공유
네이버 클라우드로 공유
3회차
정리대상 기록샘플 검토 및 아카이빙 툴 결정
문제점
사업배경 알수 있는 자료 취합정리 필요
기록하는 이유
안성의 경우 마을공동체지원센터에서 주민공모사업으로 발주 > 기록단+주민+센터가 사업계획서 같이 작성(무엇을 할지 같이 고민)
기록 대상을 찾는 활동 자체가 의미있음
결과물 덜 중요 - 기록 활동을 이어갈 사람들과 이어주고 지속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
ex.(도기동) 제의 의례순서를 정리해 보거나, 서낭당 정보+기록을 정리해 보는 활동으로 이어가도록 기반작업
멸실.훼손 직전인 민속.전통기록 보존 > 통장님의 짐을 덜어주는 일 정도
입장 차이
우리마을기록단은 안성의 2개 마을 활동을 사례로 다른 마을로 확산되었으면 하는 바램이 있음